본문 바로가기
금융 STORY/정책자금, 지원 등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사업 안내

by soni123 2025. 5. 22.
반응형
 

치매 환자 본인 또는 가족에게 실질적인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이 전국 보건소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본 제도는 치매로 진단받고 치료 중인 환자에게 실비를 지원함으로써 조기치료 유도와 경제적 안정을 동시에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원 대상, 지원금액, 신청 절차 등 전반적인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


지원 대상 및 선정 기준 자세히 보기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대상은 해당 지역 주민으로 보건소(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입니다.

다만, 아래의 조건을 함께 충족해야 하며, 일부 중복 지원 대상자는 제외됩니다.

  • ✔️ 연령 기준: 만 60세 이상 (초로기 치매는 예외적 선정 가능)
  • ✔️ 진단 기준: 보건소에 등록된 치매환자로, 질병분류코드상 치매 진단을 받은 자
  • ✔️ 치료 기준: Donepezil, Galantamine, Rivastigmine, Memantine 등 치매치료제가 포함된 약을 복용
  • ✔️ 소득 기준: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차상위계층 및 의료급여 수급자 우선 선정)

※ 지원 제외 대상: 장애인의료비 지원자, 보훈대상자의료지원 수혜자
※ 중복 급여 제외: 의료급여 본인부담상한제 및 긴급복지의료지원 대상

 

또한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건강보험료 부과액이 정해진 기준 이하일 경우 소득 요건 충족자로 간주됩니다.

아래 표는 직장·지역 가입자별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예시입니다.

가구원 수 직장 가입자(원) 지역 가입자(원)
1인 88,620 19,805
2인 147,280 105,944
3인 189,109 147,855
4인 230,142 196,236
5인 272,226 249,281
6인 309,670 293,801
7인 346,067 335,569
8인 403,785 402,840
 

 

치매 치료비 지원 금액 및 지급 방식 알아보기

지원 금액은 치료제 복용 및 진료 시 발생한 본인부담금 중 일부를 실비로 보전하는 방식이며,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지급됩니다.

  • ✔️ 지원 금액: 월 최대 3만원, 연간 36만원 한도
  • ✔️ 지원 항목: 치매약제비 본인부담금 + 처방 당일 진료비 본인부담금
  • ✔️ 지급 방식: 치료제 복용 개월 수에 따라 분기 또는 일괄지급
  • ✔️ 조건: 신청일 이후 발생한 약처방 및 진료비에 한해 적용

치매 치료제 복용 여부는 처방전 또는 약국 영수증으로 증빙하며, 약제 성분은 반드시 해당 치료제에 포함된 성분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참고로 혈관성 치매 환자의 경우, 관련 치료제(Aspirin, Clopidogrel 등)도 인정됩니다.

 

처방 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www.hira.or.kr) → 의약품 정보 → 자료공개 → ‘약제급여목록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기 ▶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치매치료 관리비 지원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 안내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신청은 주민등록지 관할 보건소(치매안심센터)에서 연중 수시로 접수받습니다.

본인 또는 가족이 직접 신청할 수 있으며, 방문, 우편, 팩스, 전자우편 제출 모두 가능합니다.

신청 시 제출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① 지원 신청서 (인터넷 또는 현장 배부)
  • ② 본인 명의 입금 통장 사본 (가족 통장도 가능)
  • ③ 당해 연도에 발행된 치매약 처방전 또는 약국 영수증 (약품명 기재 필수)
  • ④ [서식 3호]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전자정부법 제36조에 근거)

추가적으로 주민등록등본과 건강보험증은 보건소 시스템을 통해 조회되므로 별도 제출은 생략 가능합니다.

단, 타 지역에 거주 중인 경우에도 주소지 보건소로 우편 접수 가능합니다.

 

결론 및 다음 단계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은 치매환자와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조기 치료 및 꾸준한 약 복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부의 대표적인 보건복지 정책 중 하나입니다. 특히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인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약값뿐만 아니라 진료비 일부까지도 지원받을 수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 다음 단계: 치매 진단을 받으셨거나 치료 중이시라면,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여 등록 여부 확인 및 신청을 서두르시기 바랍니다. 꼭 필요한 분들이 혜택을 받도록 정보를 널리 공유해 주세요.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