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된 스위스 투자은행 UBS의 '2025 글로벌 자산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백만장자 수가 처음으로 130만 명을 돌파하며 전 세계에서 열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한국 경제의 성장과 자산 가치 상승이 반영된 결과로, 전 세계적인 부의 지형도 변화 속에서 한국의 위상을 다시금 확인시켜주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글로벌 백만장자 현황과 한국 백만장자의 증가 추이, 그리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에서의 순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미래 부의 흐름을 예측해보고자 합니다.
한국 백만장자, 130만 명 돌파로 글로벌 10위 진입
UBS가 56개국의 자산 보유 현황을 분석하여 발표한 '2025 글로벌 자산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순자산 100만 달러(약 13억 7,500만 원) 이상을 보유한 한국인은 총 130만 1천 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년도(129만 5,674명)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로,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백만장자 수가 130만 명을 넘어선 기록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백만장자(Millionaire)는 순자산(Net Worth)이 100만 달러 이상인 개인을 의미합니다. 순자산은 총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금액으로, 부동산, 주식, 예금, 연금 등 모든 형태의 자산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한국은 전 세계 백만장자 보유국 순위에서 10위를 차지하며, 경제적 영향력을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자산 시장의 변동성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백만장자 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한국 경제의 견고함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글로벌 부의 지형도: 미국과 아시아태평양의 부자들
보고서는 전 세계 백만장자 수와 이들이 보유한 자산 규모를 상세히 공개했습니다. 전 세계 백만장자 수는 총 6천만 명에 달하며, 이들이 보유한 자산 규모는 약 226조 4,700억 달러(약 31경 1,645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 세계 부의 상당 부분이 소수의 고액 자산가들에게 집중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국가별 백만장자 순위: 미국 독주와 아시아의 부상
글로벌 백만장자 분포를 살펴보면 미국의 압도적인 부의 집중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순위 | 국가 | 백만장자 수 (명) | 특징 및 비고 |
---|---|---|---|
1위 | 미국 | 23,831,000 | 전 세계 백만장자의 약 40% 집중, 하루 평균 1,000명 증가 |
2위 | 중국 | 6,327,000 | 아시아 1위, 하루 평균 386명 증가 |
3위 | 프랑스 | 2,897,000 | 유럽 주요국 중 상위권 |
4위 | 일본 | 2,732,000 | 아시아 2위, 한국 다음으로 높은 아시아 백만장자 수 |
5위 | 독일 | 2,675,000 | 유럽 주요국 중 상위권 |
6위 | 영국 | 2,624,000 | 유럽 주요국 중 상위권 |
... | ... | ... | |
10위 | 한국 | 1,301,000 | 전 세계 10위, 아시아태평양 3위 (일본, 중국 제외 시 2위) |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은 하루 평균 1,000명씩 백만장자가 늘어나는 등 압도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또한 하루 386명씩 새로운 백만장자가 추가되는 등 빠른 속도로 부의 규모를 키우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글로벌 경제에서 미국과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과 자본 시장의 활성화가 큰 영향을 미 미치고 있음을 방증합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백만장자 현황: 한국의 위치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에서는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백만장자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중국을 아시아태평양 전체로 볼 경우 한국은 3위를 차지하지만, 중국을 제외하고는 일본 다음으로 높은 순위입니다.
- 일본: 273만 2천 명
- 한국: 130만 1천 명
- 대만: 75만 9천 명
- 홍콩: 64만 7천 명
- 싱가포르: 33만 1천 명
이는 한국이 아시아 지역 내에서 중요한 경제 허브이자 자산이 축적되는 국가임을 보여주는 동시에,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경제적 격차와 특성을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지표입니다. 한국의 백만장자 증가는 주로 부동산 가치 상승, 주식 시장 활성화, 그리고 고소득 전문직 증가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미래 백만장자 전망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UBS는 향후 5년간 미국의 경제 성장 등의 영향으로 500만 명 이상의 신규 백만장자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부의 파이가 더욱 커질 것임을 시사하며, 각국의 경제 정책과 자산 시장 동향이 백만장자 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질 것임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경우, 130만 명이 넘는 백만장자의 등장은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들의 소비와 투자는 내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고액 자산가들의 증가는 국가의 세수 기반을 확충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백만장자 수가 증가하는 것은 긍정적인 경제 지표일 수 있지만, 동시에 부의 양극화 심화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상위 계층의 자산 증가는 일반 대중과의 소득 및 자산 격차를 벌릴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부자들의 증가와 함께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과 사회 전반의 소득 분배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병행해야 할 것입니다.
한국 백만장자 130만 명 돌파는 한국 경제의 저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글로벌 부의 흐름 속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앞으로 한국이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균형을 어떻게 이뤄나갈지 주목됩니다.
'일상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 2.2억 ‘신의 직장’ 넥슨 네오플 분석: 한국 게임업계 연봉과 복지 현황 (8) | 2025.06.18 |
---|---|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취득 완벽 가이드: 필수 요건부터 유망 관련 자격증 추천까지 (4) | 2025.06.18 |
주말 전국 '습하고 더운 비소식' 제주 최대 250mm 이상 폭우… 서울·수도권 상세 날씨와 습도 주의보 (0) | 2025.06.13 |
하루용돈 5만원 받는 천억부자-장사의 신 (5) | 2025.06.12 |
김민재 알 나스르 이적, 사우디 환영-김민재의 선택은 ? (1) | 2025.06.12 |